암과 CK 논문

컴파운드 케이의 다양한 기능성 중에서
간암과 관련된 내용에 대해 알아볼게요.

​함께 살펴볼 논문은 2021년, SCI급 국제 학술지인 
‘식물 요법 연구’
(Phytotherapy Research)에 게재되었어요.

논문의 제목은
Apoptotic effect of compound K in hepatocellular carcinoma cells 
via inhibition of glycolysis and 
Akt/mTOR/c-Myc(에이케이티/엠티오알/씨믹) signaling. 에요. 

논문의 제목을 한글로 번역하면 

‘해당 과정 및 Akt/mTOR/c-Myc(에이케이티/엠티오알/씨믹) 
신호 전달 억제를 통한 간세포 암종 세포에서 
컴파운드 케이의 세포 자멸사 효과’ 

라고 할 수 있어요.

● 연구 배경 및 목적
Akt/mTOR/c-Myc(에이케이티/엠티오알/씨믹) 신호 전달은
호기성 해당 작용과 종양 성장의 조절에서
중추적인 역할을 해요.

이 연구에서는
컴파운드 케이의 세포 사멸 능력에 있어
Akt/mTOR/c-Myc(에이케이티/엠티오알/씨믹) 
신호전달의 역할을 인간 간세포 암종 세포(HCC)인
HepG2(헵지투), Huh7(허 세븐)에서 조사하였어요.

그림 1의 A은 컴파운드 케이의 화학 구조이며,
B는 컴파운드 케이가  HepG2(헵지투)와 Huh7(허 세븐) 세포의 성장을 
억제한다는 것을 알 수 있었어요.

그림 2에서는
컴파운드 케이가 인간의 간암 세포인
HepG2(헵지투)와 Huh7(허 세븐) 세포에서
세포 자멸사를 효과적으로 유도했어요.

이러한 세포 자멸사 효과는
Akt/mTOR/c-Myc(에이케이티/엠티오알/씨믹) 
신호 전달 경로와 연관이 있었어요.

그림 4에서는 해당 과정에서
AKT(에이케이티)의 역할을 알아보기 위하여,
AKT 억제제인 LY294002(엘와이 이구사영영이)를 사용하였어요.
LY294002는 인간 간암 세포의생존율을 억제하였어요.

컴파운드 케이의 
c-Myc(씨믹) 안정성에 대한 효과를 알아보기 위해, 
단백질 합성 억제제인 사이클로헥시미드 분석법이 수행되었어요.

 그림 5에서 컴파운드 케이는 c-Myc 안정성을 
감소시키는 것으로 관찰되었어요.

그림 6에서는
컴파운드 케이의해당 작용에 대한 효과를 설명하기 위해,
컴파운드 케이가 처리된 HepG2(헵지투) 세포에
피루브산(Pyruvate)을 처리하였어요.

 피루브산은 컴파운드 케이의 암세포 억제 능력을 감소시켰어요.

그림 7에서는 
이 연구에서 제시하는 메커니즘이에요. 

● 연구의 의의

​이 연구는 간암 세포에서 해당 과정 및
Akt/mTOR/c-Myc(에이케이티/엠티오알/씨믹)
신호전달의 억제를 통해 세포 자멸사(Apoptosis)을
유도한다는 증거를 제공해줍니다.


본 연구를 통해 컴파운드 케이를
간암에 대한 강력한 항암 후보로서 
제안할 수 있습니다.

https://blog.naver.com/mgincorp